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공유/주식 분석

삼성전자 주가 TSMC 넘는다

by 퍼니준 2021. 10. 7.

요즘 삼성전자 분위기가 너무 우울했었는데 오래간만에 좋은 소식이 나왔습니다. 드디어 2 나노 공정을 공식적으로 언급을 했는데요. 삼성전자 주가로 많이 불안해 하시는 분들 이번 글 읽어보시면 희망과 확신을 가지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삼성전자 TSMC 넘는다

 

대략 양산 시기를 2025년으로 잡고 있는데 사실 게이트 홀 어라운드 공정은 내년 상반기 3 나노부터 적용이 됩니다. 지금이 2021년 하반기니까 불과 6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는 얘기고 TSMC는 이미 3 나노 공장을 핀펫 공정으로 양산하겠다고 발표를 했기 때문에 만약에 내년에 상반기에 3 나노 게이트 홀 어라운드 공정이 성공하게 되면 TSMC보다 앞서 가게 됩니다.

 

삼성전자-2025년-TSMC-넘는다
삼성전자 2025년 TSMC 넘는다

 

당연히 신기술인 만큼 성능은 30% 향상, 전력 소모는 절반 가까이 줄게 됩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칩 면적을 35% 줄일 수 있는데 이 말은 동일한 웨이퍼를 투입했을 때 생산되는 개수가 많다는 것이고, 원가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영업이익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기사
삼성전자 기사

 

일단 로드맵 상으로는 2025년 3세대 게이트 홀 어라운드 공정을 이용한 2 나노 공정이 잡혀 있는데 이게 만약에 계획대로 잘 진행이 된다면 해외 파운드리 대비 2세대나 앞선 기술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해외 파운드리는 당연히 TSMC겠죠. 왜냐면 삼성전자가 TSMC를 제외하고는 2025년쯤에 2 나노에 갈 수 있는 기업이 사실상 없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5 나노에 진입한 기업이 2개밖에 없고, 그나마 인텔이 조금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사실 지금도 7 나노에 진입도 못해서 쩔쩔 매고 있기 때문에 현실 가능성이 높지는 않습니다.

 

사실 우리는 투자자 입장이니까 전문 엔지니어처럼 기술적으로 깊이 알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면 기존 핀펫 공정은 전류가 흐르는 채널을 3면에서 제어하는 거고요. 게이트 홀 어라운드 공정은 4면에서 더 정밀하게 제어하는 겁니다.

 

당연히 전류의 흐름을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니까 성능 좋아질 것이고요, 제조공정 미세화로 전기로 더 적게 먹게 됩니다. 그리고 크기도 작게 만들 수 있으니까 웨이퍼당 생산성이 좋아지겠죠. 한마디로 모든 면에서 다 좋습니다.

 

삼성전자 3나노 게이트 홀 어라운드 공정은 5년 후 핀펫 공정과 비교해봤을 때 성능은 30% 좋아지고, 전력 소모와 면적은 각각 50%, 3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다 좋은데 사실 문제는 수율이죠. 지금 5 나노 공정도 수율이 50%가 안된다 이런 얘기가 많이 나돌았었는데, 3 나노는 수율 잡기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거든요. 

 

여기서 수율이라는 것은 전체 생산량 대비 비율을 말하는데 수율이 50%라는 얘기는 절반이 불량이라는 얘기죠. 만약에 수율이 70%라면 100개 중에 70개가 정상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수율은 높을 수록 좋은 건데 아무래도 미세공정으로 진입할수록 난도가 높기 때문에 수율은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수율이 너무 안 나오면 오히려 만들수록 적자가 나니까 당연히 양산에 성공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인텔이 7나노 진입에 실패한 게, 7 나노를 아예 만들 수 없어서가 아니라 만들긴 만드는데 수율이 너무 안 나왔기 때문이거든요. 그러니까 실제로 양산하는 것과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 이 문제는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지금이라도 2나노를 만들 수 있긴 있는데 수율이 10% 나옵니다. 그러면 이건 양산을 못 시키는 거죠. 10개 중에 9개를 버려야 된다면 당연히 수익성이 전혀 안 나옵니다.

 

그래서 양산시기는 사실상 수율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보면 됩니다. 

 

삼성전자가 초미세공정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죠.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10 나노 이상급도 하고 있는데 이번 포럼을 통해 핀펫 기반 17 나노 신공정도 발표했습니다.

 

핀펫기반-신공정
핀펫기반 신공정

 

삼성전자에 따르면 17 나노 신공정은 28 나노 기존 공정 대비해서 성능은 39%, 전력 효율은 49% 향상되면서도 칩 면적은 43%나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이건 정말 엄청난 거죠. 17 나노 같은 경우는 주로 이미지 센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IC 소위 DDI라고 하는 건데 참고로 삼성전자가 DDI 세계 1위입니다.

 

엄청난 고부가가치 반도체는 아니어도 워낙에 쓰임새가 다양하기 때문에 당연히 수익성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기존 14 나노 공정을 MCU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개발해서 요즘에 뜨고 있는 사물 인터넷이나 웨어러블 기기 이런 분야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2. 결론

 

이렇게 전방위 적으로 파운드리 분야에서 칼을 갈고 힘들게 기술 개발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실적은 크게 개선이 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당장 내년 전망치를 보면 파운드리 분야에서 드디어 분기당 1조 이상의 영업이익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사실 올해까지만 해도 잘 나와야 3천억 정도밖에 안됐었거든요.

 

심지어 1분기에는 천억 적자가 났었죠. 지금 파운드리 가격도 최대 20%까지 거의 몇 년 만에 처음으로 인상을 했고 대다수의 전망치를 보면 내년부터는 파운드리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지금까지는 파운드리가 계륵 같은 존재였다면 아마도 한 5년 정도만 지나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 유망 주식 추천 합니다!

11월 주식 전망, 추천 기업 정리! 클릭!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투자하는 이유! 클릭!

삼성전자 주가가 밝은 이유? 내년을 보면 알 수 있다! 클릭!

달러 환율 상승! 삼성전자 엄청난 이득 호재!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