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내일배움카드 발급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시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1. 내일배움카드란?
내일배움카드는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고용노동부에서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교육훈련비, 학원 수강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취업만을 위해서 쓰기보다는 현재 직장인 분들도 업무능력을 키우기 위해 사용하면 정말 좋습니다.
기존에 실업자/재직자로 구분됐었지만 2022년부터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고 혜택도 더 늘어났습니다.
실업자일 때 내일배움카드 발급을 받았다가 취직을 하면 다시 재직자 내일바움카드로 재발급받아야 했지만 이제 국민내일배움카드 하나면 구직중에도 취업 후에도 계속 쓸 수 있고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주부들도 이제는 쉽게 내일배움카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자격요건은 실업자, 구직자가 되겠죠. 실업자인데 구직을 안 하면 안 됩니다. 실업자라면 워크넷에서 구직신청을 해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설계사 같은 특수직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월급이 3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대기업에서 근무하시는 분들도 월급이 300만 원 이하이거나 대기업에 다니시더라도 월급과 상관없이 나이가 45세 이상이면 내일배움카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영업 하시는 분들도 연매출 1억 5천 이하라면 가능하고, 대학생들은 졸업을 앞두신 분들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대학 진학을 원하지 않는 고등학교 3학년도 내일배움카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3. 내일배움카드 발급 신청방법(온라인)
신청은 고용센터에서 하셔도 되지만 온라인으로도 되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공인인증서 필요합니다.
(1) 고용노동부 HRD-NET 검색(링크 걸어두었습니다)
(2) 로그인을 하고 메인 화면에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클릭, 공인인증서 로그인
(3) 발급 전 확인해야 될 사항 체크
-아직 정확히 어떤 과목을 수강해야 될지 결정 못하셨더라도 먼저 관심 과정을 하나 선택해야 합니다. 본인이 관심이 가는 과목을 "관심 등록"에 넣어둡니다.
(4) 그다음 동영상을 시청하셔야 합니다.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10가지 챕터를 다 보고 우측 상단 완료 버튼까지 눌러야지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1~2분짜리 영상이라서 15분에서 20분 정도 걸립니다.
(5) 동영상을 다 보고 수강확인증이 나온 지 확인한 뒤 다시 앞으로 가서 유의 사항 동의를 누릅니다.
(6) 신청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장려금 수령 계좌정보 입력란이 나오는데요. 이거는 기존에 훈련 참여를 열심히 하면 월 최대 11만 5천 원을 지급받을 수 있었던 '훈련장려금'이었는데요.
이제는 140시간 이상 훈련과정 기준으로 80% 이상 출석을 하면, 실업여부 및 소득 수준에 따라 현금으로 계좌에 입금해주는 내용입니다.
재직자 중에서도 일정 시간 미만 근로자나 근로장려금 수급자도 받을 수 있습니다.
(7) 장려금 수령 계좌정보 입력 후 아까 관심 목록에 넣어놨던 훈련과정 요양보호사(본인이 넣어두신 강의)를 추가하고 나면 신청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란이 나옵니다. 해당하는 곳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8) 카드는 농협카드나 신한카드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청하시면 완료가 됩니다.
내일배움카드로 배울 수 있는 것 BEST 3 추천! 클릭!
내일배움카드로 배울수 있는 것 BEST 3
이번 포스팅에서는 1% 저금리 대출받는 방법과 2022년 변경된 내일배움카드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히 살펴보셔서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 1. 내일
funny-jun.co.kr
'복지 정보 공유 > 복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노인 혜택 총정리 (0) | 2021.11.22 |
---|---|
2022년 영아수당, 출산 지원금, 임신 지원금, 아동 수당 간단 정리 (0) | 2021.11.22 |
여행 할인 쿠폰 총정리 (고속버스, 숙박, KTX, 코레일, 놀이공원, 캠핑, 근로자 휴가 지원) (0) | 2021.11.11 |
임대차 신고제란? 임대차 신고제 대상 계도기간 총정리 (0) | 2021.11.11 |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환급금 조회방법 총 정리 (0) | 2021.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