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공유/주식 분석

디어유 공모주 수요예측결과 상세 분석

by 퍼니준 2021. 10. 29.

디어유 수요예측 결과가 나왔습니다. 굉장히 좋은 결과가 나왔죠. 디어유의 따상 가능성은 앞으로 어떨까요? 상세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디어유 주가 전망, 따상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어유 수요예측

 

디어유 수요예측
디어유 수요예측

 

디어유가 수요예측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공모가는 26,000원으로 확정이 됐습니다. 원래 희망 공모가 밴드 범위가 24,000원이 상단이었습니다. 근데 24,000원을 넘기는 26,000원으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수요예측 결과가 양호했다,라고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디어유, 카카오페이 다음으로 관심이 가는 공모주인데 과연 청약한다면 기대 수익률이 얼마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어유는 팬덤 전문 플랫폼입니다. 팬덤 전문 플랫폼이 무엇일까요?

 

예전에 하이브가 상장 헀을 때도 하이브의 기업 가치를 높게 평가했던 이유 중 하나가 위버스라는 플랫폼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죠. 아티스트들이 위버스라는 플랫폼 안에 들어와서 여기서 활동을 하는 겁니다. 팬들과 소통을 하고, 굿즈도 팔고 즉, 이러한 팬덤을 갖고 있는 아티스트들이 하나의 플랫폼에 참여를 해서 여기에서 본격적으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사업 모델이 팬덤 전문 플랫폼입니다.

 

디어유는 현재 버블이라는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독자는 120만 명입니다. 버블이 뭘까요?

 

아티스트들과 팬들이 1:1로 소통하는 그러한 느낌을 주는 서비스입니다. 왜 느낌을 주는 서비스냐? 일단 아티스트들을 구독을 하면 아티스트들이 개별적인 메시지를 보냅니다. 하지만 이게 개별적인 메시지가 아니라 구독하는 팬들에게 다 같이 가는 메시지입니다.

 

근데 그 메시지를 받아보는 팬 입장에서는 팬이 설정한 네이밍으로 메시지가 가게 됩니다. 다른 곳에서는 공개하지 않은 아티스트들의 영상, 이미지, 일상 생활 이런 것들을 버블이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마치 팬과 1:1로 대화하듯이 그런 식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신개념 플랫폼입니다.

 

2. 디어유 수익모델

 

디어유 수익모델
디어유 수익모델 출처 : 디어유

 

앞서서 디어유의 서비스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구독자가 120만 명이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게 사업 모델이 상당히 간단합니다.

 

일단 아티스트 한명당 월 4,500원을 내면 구독을 하는 겁니다. 아시다시피 이런 팬덤 서비스에 돈을 지불할만한 그런 팬들은 연령층이 상당히 낮습니다. 여성 비중이 상당히 높고요. 그중에서도 20대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디어유의 입점해있는 23곳, SM과 JYP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획사들이 들어와있습니다. 팀 기준으로는 54팀 229명의 아티스트들이 현재 여기에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런칭을 사실상 2020년 1분기에 했는데 지금 1년 좀 지났는데 구독자가 120만 명입니다. 게다가 국내 구독자 29%이고 해외 구독자가 71%입니다. 한마디로 글로벌 플랫폼인 것이죠.

 

중요한 것이 아시아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미국, 유럽, 기타 국가들의 비중도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디어유 향후 로드맵

 

디어유 향후 로드맵
디어유 향후 로드맵 출처 : 디어유

 

지금 현재 디어유 같은 경우에는 앞서 살펴봤던 버블을 통해서 아티스트랑 팬이랑 프라이빗한 메시지를 주고받는 그런 서비스의 집중을 하고 있는데, 이게 사실상 갖다 붙이기만 하면 무궁무진한 서비스로 발전할 겁니다.

 

조만간 이모티콘, 손글씨 등 카카오톡이나 기타 일반 메신저를 통해서 이미 현질을 해봤던 다양한 서비스들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여기서부터 중요합니다. 마이홈이라고 해서 사용자 프로필내 개인 룸을 제공한다. 한마디로 메타버스죠. 메타버스의 시작 단계다,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조금 더 발전된 버블 월드, 본격적인 메타버스 서비스 오픈을 하고요. 여기서 경제활동이 가능한 생태계를 마련한다, 이게 바로 수익 모델이 추가되는 그런 부분입니다.

 

최종적으로는 NFT(대체불가능 토큰)를 통해서 사업 영역을 더 키우겠다, 이런 말입니다. 최근에 위메이드가 엄청 올랐습니다. 단순히 미르 4라는 게임이 잘 된 것뿐 아니라 위닉스라는 토큰이 있습니다. 그게 NFT인데, 이거와 실제로 미르 4를 연동시킴으로써 유저들이 그 게임에서 활동하고 여기에서 받은 보상을 가지고 현금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놓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단기간에 주가가 엄청 많이 오른 것이죠. 그런 것들을 전문용어로 P2E입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번다, 그런 개념입니다.

 

디어유 같은 경우에도 향후에 메타버스 플랫폼이 잘 갖춰진다 라고 한다면 이 NFT 개념을 굳혀서 실제로 유저들이 활동을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그런 생태계를 구축 한다는 말입니다.

 

4. 디어유 공모가 산출내역

 

디어유 공모가 산출내역
디어유 공모가 산출내역 출처 : 증권신고서

 

디어유 공모가 산출내역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유사 기업으로 제이와이피, 큐브엔터, 카카오, 와이지플러스 입니다. 여기서 카카오가 왜 들어가느냐 하면서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분이 계실 수 있습니다.

 

사실상 들어가나 마나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카카오 PER은 여기서 50배입니다. 하지만 큐브엔터나 와이지플러스가 오히려 카카오보다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카카오가 빠진다 라고 해서 디어유의 공모가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왜 SM이 없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이런 기업들이 없냐, 이런 기업들은 현재 순이익이 외곡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PER이 100배가 넘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과대평가된 것을 막기 위해서 두 기업을 제외를 했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걸 기반으로 산출한 주당 평가액이 27,000원 여기에 희망 공모가 밴드가 18,000원~24,000원으로 정해졌죠. 최종적으로 공모가는 26,000원으로 확정 되었습니다.

 

일단 이 멀티플 53배라는 것이 상당히 높은 것 아니냐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증시에서 엔터 주식들이 핫합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이 정도 PER을 형성하고 있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냐, 적용 당기 순이익입니다. 이게 디어유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입니다. 근데 여기에다가 파생상품 관련 손실 등, 비용은 아닌데 회계상 지출된 비용으로 계산된 게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고려해서 보정한 당기순이익입니다. 근데 이거를 X2를 했습니다. 그래서 올해 연간 예상 순이익으로 잡았습니다.

 

근데 최근에 디어유의 실적을 보시면 구독자가 1년 6개월 만에 어마어마하게 성장을 했잖아요? 근데 이게 진행 중입니다. 여기에 따라서 지금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을 하면서 드라마틱의 흑자 전환을 하는 모습인데, 공모한 자금을 바탕으로 아티스트들을 훨씬 더 많이 영입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버블, 메신저를 통해서만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데 앞서서 살펴본 것처럼 마이홈, 메타버스, NFT 이런 성장성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이 붙는다,라고 한다면 당연히 실적은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사실 멀티플은 높지만 앞으로 예상 실적을 보수적으로 추정했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들이 매력적으로 느낀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5. 디어유 수요예측 결과 비교

 

▶수요예측 비율 2,001:1

-2020년 5월부터 현재까지 공모를 진행한 공모주와 비교해 봤을 때 역대 3위입니다. 백분율로 따지면 상위 2%입니다.

▶유통가능 비율 22%

▶공모가 상단 초과 제출 비율 93.3%

▶의무보유 확약비율 37.5%

 

이 네 가지 공모 지표를 가지고 공모지표 종합점수, 백점 만점으로 산정을 해보니 총 86점이 나왔습니다. 얼마 전에 카카오페이가 상당히 양호한 수요예측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근데 카카오페이의 공모 지표 종합점수는 80점입니다. 그런데 디어유 같은 경우는 카카오 페이보다 더 양호하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공모 지표종합 점수가 상위 5%에 해당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공모 지표 종합점수가 상위 5%에 해당되는 기업들, 상장하고나서 어떤 퍼포먼스를 기록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5-1. 디어유와 공모지표 종합점수 유사기업들 상장 당일 성과

 

디어유와 공모지표 종합점수 유사기업들 성장 당일 성과

 

오로스테크놀로지부터 와이엠텍까지 총 8개 종목이 디어유와 공모지표 종합점수가 유사했습니다.

 

보시면 공모가 대비 시가 상승률, 샘 씨엔에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작하자마자 더블에 성공을 했습니다. 그중에서 4개의 기업은 사상에 성공을 했습니다. 따상 성공 확률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물론 샘 씨엔에스처럼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지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근데 이때 상황을 살펴보면 공모주들이 상당히 상장하자마자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던 그런 시기입니다. 그런 영향을 받아서 샘씨엔에스 역시 상장하자마자 부진하게 출발을 했습니다. 하지만 종가 기준으로는 많이 상승을 해서 시작을 했고, 그다음 날 같은 경우에도 상한가를 기록을 했습니다.

 

6. 결론

 

▶최근 엔터주의 강세 영향으로 수요예측 결과 매우 양호(카카오페이 웃돎)

▶공모가 산정에 들어간 PER 배수는 높지만 실적 추정치 보수적

▶메타버스, NFT 등 시장에서 핫한 분야와 연관성

▶일반청약 배정주식수 82.5만 주로 균등배정 참여 시 추첨 예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