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공유/주식 분석

ESG 뜻과 관련주 정리

by 퍼니준 2021. 10. 14.

우리가 투자해서 돈을 벌려면 이걸 알아야 됩니다. ESG입니다. ESG가 뭐냐? 많이 들어는 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막상 ESG에 대해서 관심 없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데, ESG 모르면 앞으로 돈 벌 때 애 먹으실 것입니다. ESG 꼭 아셔야 됩니다.

 

1. ESG 뜻, ESG란?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왜 중요한지 설명드릴 거고, ESG 중에서 어떤 주식들이 지금 좋은지 이것까지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SG중의 E, 환경은 중요도 60%를 차지합니다. 탄소제로라던가 온실 배출 저감 친환경 제품, 기후변화 방지 등 환경에 관련된 행위를 하는 기업들에 투자를 해주겠다, 환경분야에 점수를 매기는 게 ESG의 E입니다.

 

ESG중의 S, 사회의 중요도는 26.7% 차지합니다. 상생협력, 공공이익 증대, 인권보호를 이야기합니다. 여기에 힘쓰는 기업들에 대해서 ESG 등급을 더 높게 주는 거죠.

 

ESG중의 G, 지배구조의 중요도는 13.3%를 차지합니다. 비중 자체는 낮지만 제가 볼 때는 오히려 지배구조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요.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 그리고 주주가치 강화, 청렴 이런 것들을 볼 수 있습니다.

 

2. ESG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ESG를 준비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어떻게 될까요? 큰일 납니다.

 

회사는 자금 조달을 해야 됩니다. 돈을 빌릴 필요가 없는 기업들도 있겠죠. 근데 그런 기업들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기업들은 돈을 빌리고 빌린 돈으로 사업을 해서 투자를 해서 이윤을 극대화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다? 앞으로 힘들어진다는 얘기죠.

 

그리고 ESG 펀드라는 것도 굉장히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ESG펀드가 자금을 모아서 기업들에게 투자를 해줍니다. 그러면 이 투자로 주가 상승이 되겠죠.

 

이제 앞으로 기업들은 혼자 호의호식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이 아니라 주주들도 같이 잘 먹고 잘 살게 만들 수 있도록 기업을 운영해야 됩니다.

 

그럼 ESG 펀드가 들어온다 라는 거는 주가를 올려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ESG 펀드 투자를 받지 못하면 주가가 올라가지 않겠죠. 그럼 주주들이 불만이 생기겠죠.

 

앞으로 주주총회라던가 이사회 운영할 때 애를 먹을 것입니다. 주가 상승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ESG를 잘 준비해야 된다는 거고 사회적 인식도 이제는 ESG를 잘하는 기업은 좋은 기업, ESG를 준비하지 못하는 기업은 좋지 않은 기업 이렇게 사회적 인식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럼 나중에 기업의 매출이나 이익에도 타격이 가겠죠. 거기에다가 브랜드 가치마저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ESG는 정말 잘 준비해야 된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3. 친환경 투자(E) 기업 정리, 어디에 투자해야 좋을까?

 

 

오늘 포스팅에서는 우선 E에 관련된 기업들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친환경에 열심히 하고 있는 기업을 뽑아 봤습니다. 먼저는 국내 회사입니다.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정유회사 아닙니까? 맞습니다. 원래 정유화학 기업이었는데 최근에 변신하는 것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 전지 생산, 친환경 연료유로 전환, 주유소 매각,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지분 매각을 했거나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서 석유화학, 윤활유 비중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정유업이 석유산업을 어느 정도 비중을 축소하면서 매각 대금을 가지고 어디에 다시 재투자하느냐? 친환경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아마 다른 정유사 대비 가장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기업이 오히려 더 친환경적으로 변신할 수 있다. 역발상의 관점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GC 에너지

이 회사는 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합니다. 그래서 전기랑 증기를 인근 산업단지에 있는 기업들한테 판매를 합니다. 어떻게 발전하냐면 유연탄을 태우는데 유연탄 태우면 친환경이 아니잖아요. 유연탄이랑 우드팰릿을 혼합해서 발전합니다.

 

우드팰릿 비율을 계속 늘리고 있습니다. 그러면 유연탄 비율은 계속 줄어들고 폐목재를 가지고 발전을 하기 때문에 굉장히 친환경적인 포인트를 얻을 수 있는 기업이라는 거죠.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라고 REC라고 있는데 이거를 판매할 수 있습니다. SGC에너지가 REC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대형 발전소 같은 경우는 의무 비율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공급해야 되는데 못 하는 만큼 REC를 사 와서 해야 되니까 SGC 에너지는 REC를 대형 발전소들한테 판매해서 돈을 벌 수가 있다는 거죠.

 

거기에 또 탄소배출권도 판매하는데 탄소배출권 1년 만에 2배 올랐죠.

 

또 어떤 산업에 진출했느냐, 수소연료 발전 사업에 진출을 했고, 탄소포집 사업에도 진출을 했습니다. 그리고 자회사가 이테크건설이라는 게 있는데 여기 실적이 같이 반영이 되거든요.

 

이테크건설은 어떤 회사냐면 물류 창고 위주로 수주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렇단 얘기는 앞으로 쿠팡이나 이런 기업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SGC 에너지의 매출과 이익은 같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라는 것입니다. 굉장히 매력적인 회사가 되겠죠.

 

외국에 있는 기업 2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애플

애플이 무슨 친환경 기업이냐고 하는데 굉장히 친환경 기업입니다. 이 기업이 이미 벌써 탄소 중립을 달성했습니다.

 

데이터 센터라던가 본사의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을 합니다. 협력업체한테도 이렇게 했습니다.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해달라고 했고 약속을 다 받았습니다.

 

그리고 부품도 지금 재활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코발트 같은 경우는 구하기 어렵잖아요? 그러면 폐부품에서 코발트를 다시 가져와서 재활용도 하고 알루미늄도 로봇들이 채취를 합니다. 그래 가지고 새로 재활용을 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아이맥이라던가 아이폰에다가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애플은 계속 탄소배출은 줄이고 있습니다. 매출은 늘어나는데 탄소 배출이 줄어들고 있다는 건 굉장히 대단한 일입니다.

 

이런 기업들이 또 어디 있느냐 막상 별로 없습니다. 경쟁사 기업들 보면 애플이 이쪽 분야에서는 압도적으로 치고 나갈 수 있다 라는 저력을 보여줬다 라고 볼 수 있겠죠.

 

▶아르셀로미탈

아니 철강회사는 친환경이 아니잖아요? 그렇죠 친환경이 아니니까 이 회사가 더 친환경에 노력을 하는 것입니다.

 

세계 최대의 다국적 철강사가 아르셀로미탈이고 이 회사는요 지금 미국 시장 40%를 장악한 회사입니다. 그만큼 친환경에 노력을 했을 때 엄청난 탄소배출권 포인트를 얻어낼 수 있는 기업이라는 거죠.

 

현재는 친환경에 도움이 안 되는 상태로 돈을 벌고 있는데 조만간 곧 바뀔 수가 있습니다.

 

어떤 기술을 쓸 거냐, 쇳물을 뽑아낼 때 보통 석탄을 씁니다. 석탄이 아니라 수소를 활용해서 쇳물을 뽑아내겠다- 그러면 석탄 안쓰니까 친환경이 되겠죠? 여기에다가 탄소 포집 기술, 수소 환원 제철 기술을 더해 가지고 그린스틸을 생산하겠다, 한마디로 이산화탄소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공장으로 철을 생산하겠다는 거죠.

 

그럼 이제 철강업은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는 업종이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철강사가 이렇게 준비를 하는데 아무래도 세계적인 점유율이 가장 큰 철강사는 여기에서 얻는 포인트가 더 크지 않을까 그래서 아르셀로미탈을 뽑았습니다.

 

4. 결론

 

ESG, 친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이 굉장히 많다는 거,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기업들 의외로 환경오염을 시키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기업들이 더 열심히 환경 보호에 나서고 있다는 것을 봤습니다.

 

투자자는 무조건 좋은 거만 바라보지 말고 오히려 나쁜 곳에서 진주를 발견하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겠구나 라는 것을 깨닫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또 ESG 관련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