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누구나 하고 싶지만 모르고 하면 재테크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재테크도 공부를 해야 하고 개념 정리와 마인드 정리를 확실하게 한 뒤에 시작을 해야 도박성이 되지 않고 안정적인 재테크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으로 재테크 비결 5가지를 배워보고 정리하겠습니다.
1. 재테크의 기본 절약과 저축
우리가 먼저 생각해야 할 투자의 기본은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
-단기간에 버는 것은 '투기'가 돼버린다
-적은 돈으로 투자하는 것이 재테크의 첫 단추이다
-꾸준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투자하라
이 정도는 기본적인 것으로 알아두셔야 합니다. 언택트 문화가 생기면서 미국 시장이 선도하고 주도하는 사업의 규모가 굉장히 큽니다. 그러기 때문에 흐름에 따라 언급되는 큰 기업들에게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무조건적인 정답은 아닙니다. 그러기에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죠
그렇다면 자산의 몇 퍼센트가 주식투자를 해야 할까요?
퍼센트로 정해놓는 것보다는 흐름을 이해하고 판단하고 내 상황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기업에 대한 투자를 망설여지는 이유 중 하나가 달러의 환율이죠. 달러가 떨어지면 망설여지는 게 당연합니다. 그런데 주식으로 재테크의 기본 마인드는 한번 투자하고 빠질 것이 아니라 달러가 떨어지는 흐름이라면 기다렸다가 다시 투자를 하거나 분산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접근 방식입니다.
다들 아시는 내용이시겠죠? 만약에 내가 100만 원을 버는데 50만 원을 썼던 사람이라면 100만 원을 다 저금하면 나는 100%짜리 적금에 가입한 것이에요. 소비 절약이 가장 높은 이율입니다
2. 지속적인 재테크 지식 공부를 하라
세상이 빠르게 바뀌는 만큼 재테크의 흐름도 계속 바뀌게 됩니다. 예전의 방식과 지금의 방식은 명확히 다르기 때문에 흐름을 읽고 책이나 정보를 얻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3. 목표 달성을 위한 통장 관리를 하라
이 통장 저 통장 꿈을 쓰면서 통장을 만들어 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통장 관리를 나눠서 하라는 것입니다. 나눠서 하되 그 통장마다 통장의 목표를 명확히 적어두는 것이죠. 예를 들어 "내 집 통장", "결혼자금" 등으로 말이죠
4. 투자는 선을 지켜야 한다.
부동산 주식 등 여러 투자가 있겠지만 '내 돈의 30%만 투자할 거야' 정했다면 이거를 투자했는데 주식이 폭락하면 어떤가요? 너무 속상해서 본전을 찾기 위해 선을 넘고 다른 돈을 끌어와 투자를 하죠. 이것은 굉장히 위험합니다. 투자에 실패를 했으면 일단 멈춰야 합니다
5. 가계부보다는 재테크 다이어리를 써보자
주식을 한다면 주식의 그날그날 가격 변동, 그래프도 그려보고 가계부에서 조금 더 업그레이드된 내 금융 상품들도 함께 쓸 수 있는 재테크 다이어리를 쓰면 좀 더 내 돈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가계부를 업그레이드해보는 것도 굉장한 유익입니다.
오늘은 재테크 비결 5가지를 알아봤는데요 굉장히 기본적인 것입니다. 그런데 이 기본적인 것들을 아 내가 다 아는 것들인데? 하고 넘기는 것과 지금 당장 해봐야지 하면서 하나하나 기본적은 '마인드'를 바꾸고 시작하는 것은 굉장히 다른 차이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단시간에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투기'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어떤 것에든 노력과 시간이 드는 것이 건강한 투자와 재테크가 된다는 것이죠. 우리 모두 투기 말고 투자를 배워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재테크 위험성 낮추고 확실하게 알고 하기
재테크 종류는 많고 추천하는 것도 다양하죠. 재테크가 대세인 만큼 중요한 것은 확실한 정보를 수집하고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지를 알아야 재테크도 성공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
funny-jun.co.kr
'주식 정보 공유 >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한세실업 주가 전망 (1) | 2021.09.17 |
---|---|
미국주식 유망주 유망종목 (0) | 2021.09.16 |
주식, 전기차, 배터리 ETF에 투자하라 (0) | 2021.09.13 |
구글 주가 전망이 밝은 이유 (0) | 2021.09.12 |
테슬라 주식, 주가 전망. 폭락일까? (0) | 2021.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