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차트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년 반 동안의 차트인데 우상향을 아름답게 그린 것 같지만 중간중간에 하락이 나왔습니다. 그러고 나서 여지없이 반등을 이어갔는데요. 오른쪽 끝을 보면 지금도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이번엔 다를까요? 폭락이 올지 반등이 올지 우리는 고민해 봐야 하는데 저는 반등을 한다에 한 표를 하겠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이런 생각을 하고서 종목을 선택해서 투자하기도 하는데 아마존을 선택했다, 이러면 1년 반째 박스권에서 행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증시가 내려왔다 올라가는 중간에도 종목을 잘 골라야 되고 혹은 종목을 못 고르겠다 하면은 증시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주가 등락폭에 따라서 어떤 투자를 하면 좋은지 간단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스닥 투자 ETF & ETN
나스닥에 투자하는 ETF & ETN 상품을 보면은 우선 차트를 보면 대표적으로 QQQ란 상품이 있죠. 이거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면서 1배짜리 상품입니다. 그런데 야수의 심장을 가진 투자자들은 한배짜리에 만족을 못합니다. 그래서 3배짜리 TQQQ 나스닥 100 상품에 투자하거나 FNGU 또는 BULZ가 있습니다.
세 개 다 레버리지 상품으로 3배짜리 상품인데요. 제가 매번 트랙킹을 하고 있는 한국에서 투자하는 해외투자 상품 TOP 50을 보면 꾸준히 이 상품들이 나와 있습니다. QQQ보다 TQQQ매수량이 더 많고 FNGU도 사람들이 많이 매수합니다. BULZ는 이번에 생긴 상품으로 요즘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데요.
그래서 우리는 이 상품을 어떻게 대응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나스닥 레버리지 투자
나스닥 레버리지 투자라고 하면 세 개가 대표적입니다.
TQQQ(x3) | 종목 100개 / $ 16.3B / 0.95% |
FNGU(x3) | 종목 10개 / $1.9B / 0.95% |
BULZ(x3) | 종목 15개 / $148M / 0.95% |
이 세 개의 특징을 말씀드려 보면, TQQQ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니까 당연히 100개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고, FNGU랑 BULZ는 이 중에서 100개 중에서 더 선택적으로 TOP 10-15 기업에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조금 더 포커스를 맞춘 집중투자라고 생각할 수가 있고요.
TQQQ는 $16.3B 상당히 높은 편이죠. FNGU는 $1.9B입니다. BULZ는 148M으로 상당히 적은 편인데 BULZ는 상장한 지 얼마 안 돼서 이 정도지 FNGU만큼 자산규모는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보면 총보수가 0.95%로 상당히 높은데요. 이래서 레버리지 상품은 단기 투자에 적합하지 장기 투자하시면 안 됩니다.
나스닥이 이렇게 급하게 내려왔을 때 단기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지 장기적으로 복리를 누리겠다, 그러면 절대 안 됩니다. 레버리지 상품은 오르락내리락 변동 폭이 크면 클수록 오히려 마이너스 나는 상품이니깐요.
3. FNGU vs BLUZ
FNGU랑 BULZ를 조금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앞에서 10개랑 15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25개 기업이 어느 정도 중복이 있고 각각 투자하는 것은 무엇인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7개의 기업이 중복이 있습니다. 애플,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페이스북, 넷플릭스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둘 중에 무엇을 선택할지 고민에 있다면 각각 따로 투자하는 기업이 뭔지를 봐야 합니다.
그래서 FNGU만 투자하는 기업을 보면 트위터, 바이두, 알리바바입니다. 중국 기업을 포함하고 있죠. 그래서 나는 중국에 대한 좀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하시면 FNGU를 담는 게 좋고 그게 아니다 나는 중국은 좀 피하고 싶다 싶으면 BULZ를 담는 게 좋습니다.
BULZ 8개의 기업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 AMD, 마이크론, 페이팔, 세일즈포스, 스퀘어, 줌 비디오, 인텔 등이 있습니다. 추가된 기업을 보면 반도체 기업도 있고 그리고 페이팔, 스퀘어 같은 기업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글로벌 기업 + 두 가지 테마의 기업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FNGU는 중국을 투자하느냐 마느냐를 선택하면 되는 거고 BULZ는 조금 더 광범위한 섹터를 투자하고 싶다면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알리바바랑 바이두가 주가가 엄청나게 하락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 상승을 노리고서 투자를 할 수도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그래도 추가 하락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중국은 저는 배제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4. 나스닥 더 떨어질까? FNGU, BLUZ 분석
지금 나스닥이 떨어지고 있는데 더 떨어질까 한 번 보겠습니다. 나스닥의 1년 반의 차트를 갖고 왔습니다. 그동안의 낙폭을 보면 8~12% 정도 하락을 나왔습니다. 그러면 지금 고점에서 얼마나 떨어졌나 봤더니 6%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앞에서 봤던 8~12%를 보면 2~6% 정도는 더 떨어질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단순 계산해도 지금이 저점이 아닐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몰빵 해야지 혹은 저점이다 생각하고 막 들어가시면 절대 안 되고 조금씩 분할로 생각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FNGU랑 BLUZ를 어떻게 투자하면 좋은지 살펴보겠습니다. FNGU 차트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FNGU 차트를 보시면 우상향을 아름답게 그려가고 있는데요 저점을 조금씩 갱신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른쪽에 선을 그어보면 아직 접전 끝에 내려오지는 않았죠. 끝까지 내려온다 하면 30달러 선까지 와야 하는데 아직은 조금 공간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위에 보면 고점 라인이 40달러입니다. 그거 맞으면 맞을수록 계속 떨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30~40$ 까지 좀 안팎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생각하고 그게 한 33% 공간이 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단타로 들어가는 게 좋지 장기적으로 이런 목적을 갖고 들어가시면 안 됩니다. 그래서 지금 주가가 하락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잠깐 말씀드리는 것이니까 투자에 참고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아직 여력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조금씩 접근하는 게 좋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FNGU가 상승으로 전환하려면 골칫거리 3인방을 제거해야 합니다. 알리바바, 바이두, 트위터입니다. 연초부터 하락률을 보면 엄청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기업들이 상승해서 지금의 FNGU가 상승하고 있는데 이 세 개의 기업이 반등해서 우상향을 그린다면 FNGU는 상승폭은 더욱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알리바바랑 바이두가 저점을 찍고 반등해 가는지를 지켜보시면서 FNGU를 접근할지 말지를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BULZ의 차트를 보겠습니다.
보시면 상장한 지 얼마 안 돼서 차트를 그리기엔 상당히 어려운데요. 그래도 의미 있는 선이 하나 생겼습니다. 상장한 지 이튿날 왼쪽으로 보면 밑 고리를 타고 올라가기 시작했죠. 그 선이 오른쪽에 오면 9월 18일 날 밑 고리를 엄청 달고 올라갔습니다. 다시 거길 터치하고 올라간 건데요. 오른쪽에 보면 맨 끝에 다시 또 그 선을 터치하고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세 번의 터치 구간이 왔기 때문에 이게 지지선으로 작용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23.88이 의미 있는 숫자가 되고, 위에 있는 숫자를 말씀드려 보면 27.3입니다. 그래서 이 구간에서 움직일 확률이 높고 지금 거의 저점에 와있죠. 이 버퍼를 말씀드리면 14% 정도 됩니다. 그래서 지금 10~15% 정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간에 있는데 저점에서 분할로 접근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BULZ도 골칫거리가 있는데요. 이 기업들이 상승으로 돌아선다면 앞에 말씀드렸던 위에 있는 상한선 그걸 뚫고 올라갈 확률이 높습니다. 줌 비디오, 인텔, 마이크론이 있는데 이것 또한 앞에 있는 알리바바처럼 우하향을 그리고 있는데 다시 저점을 찍고 상승 곡선을 그리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5. FNGU & BULZ 총정리
지금까지 레버리지 상품인 FNGU랑 BULZ를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레버리지 상품을 소량으로 접근하거나 거의 투자하지 않는데요 ETN 상품이 뭔지 알아야 투자할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준비해봤습니다. 에버리지 상품은 정말 위험한 상품이니까 처음 투자하시는 분들은 하지 마시고 투자 고수라도 단기로만 접근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식 정보 공유 >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 관련주 국내 메타버스 TIGER Fn메타버스 ETF 상장 (0) | 2021.10.03 |
---|---|
테슬라 주가 전망 상승 반도체 관련주에도 영향 있을 것입니다 (0) | 2021.10.03 |
뱅가드 S&P500 ETF 주가 몰리고 있는 이유 (0) | 2021.10.01 |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 매출 심각성 (0) | 2021.10.01 |
탄소배출권 ETF 전망 (0) | 2021.10.01 |
댓글